본문 바로가기

기술사 칼럼

프로젝트 실패요인 101가지 1. 일정, 원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어려운 모든 프로젝트일수록 성공하면 회사 내에서 인정 받을 가능성이 높다. 아무도 하지 않으려고 할 때 과감하게 지원하라 2. 고객 만족은 직원 만족보다 우선이고, 회사의 존재이유이다. 고객의 요구사항은 항상 수용하라. 3. 검증되지 않은 정보기술에 대하여 개척자 정신을 발휘하여 과감하게 채택하라 4. 고객은 시스템을 보고 나서 본격적인 요구사항을 표시하게 되어있다. 개발완료 이후부터 쏟아지는 변경사항을 최대한 수용하라. 5. 계약 시에 모든 업무 범위를 명확하게 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런 경우엔 가능하면 '기타' or '~등'을 최대한 활용하라. 6. 고객과의 중요한 업무 협의에는 개발 담당자가 직접 고객과 협의하게 하라. 업무를 잘 아는 당사자가 훨씬 협상을 .. 더보기
The power of Time off (안식년의 힘, 가치) 정확하게 언제였는지 잘 모르는 TED 강연 내용입니다. 아래부분에 번역된 글이 있습니다. 창의적 기업의 CEO가 회사를 운영하는 방식인데 상당히 와닿았습니다. 인생과 일을 함께 즐기면서 살아가는 모습이 부럽기도 하고 나도 언젠가는 이런 삶을 꼭 살아 보리라 마음먹게 됩니다. 직업과 전문적인 일, 그리고 천직이라는 중요한 구분에 대해 생각해 보게 하는 명강의 였기에 일과, 직업, 직장에 대한 회의가 들 때마다 되새겨 읽곤 합니다. 자, 그럼 강의 내용을 보시기 바랍니다.. ~~~~~~~~~~~~~~~~~~~~~~~~~~~~~~~~~~~~~~~~~~~ I run a design studio in New York. Every seven years I close it for one year to pursue s.. 더보기
Big Data Analysis [Source]http://blog.daum.net/tomayoon/7094324 - 2012.06.18. 경기대 윤병남 교수 자료 빅 데이터 분석, 무엇을 분석해야 하는가? - 아직 별 명쾌한 대답을 구체적으로 풀어내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 3가지 축과 2가지 보조 Dimension 1. 육하원칙 5W1H 누가 - 고객, 직원, 점포, 라인 무엇을 - 상품, 서비스, 구매, 이용, 부품, 자재, 시설, 이상, 고장 언제 - 계정, 시간, 요일, 행사 어디서 - 지역, 국가, 건물 어떻게 - 채널, 지불수단, 만족, 속도 왜 - 좋아서, 불안해서, 편해서, 기분이 나빠서, 우울해서,... Dimension 2. 탐색적 데이터 분석의 유형 - 구조, 구성 - 차이, 변화, 반복, 주기 - 속도, 경로 -.. 더보기
해커들이 좋아하는 최악의 애플리케이션 취약점은? 해커들은 온라인 주문이나 기타 프로세스의 약점을 악용하기 위해서 특히 웹 상에서 비즈니스 로직(Business Logic)의 결함을 찾아 다니고 있다. 애플리케이션의 보안을 검증하는 NT OBJECTives는 가장 빈번히 발견되는 비즈니스 로직 결함 열 가지를 선정했다. 1. 인증 플래그(Flag) 및 권한 승급 애플리케이션에는 자체적인 접속 제어 목록과 권한이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인증 이행이 약화되면 다른 사람의 콘텐츠에 접근하거나 더 큰 권한을 갖는 더 높은 수준의 사용자가 되는 등에 악용할 수 있는 취약성이 나타나게 된다. 여기서 필요한 것은 목표가 될 수 있는 ACL/권한과 관련이 있는 매개변수의 이름을 확인하는 일이며, 테스트를 진행하는 사람은 퍼지(Fuzzy) 툴을 이용해 비트 패턴이나 권한.. 더보기
변화와 혁신을 위한 챙겨야 할 과제 아래 50가지의 전 과정은 조직의 변화 관리자가 지향해야 할 중요한 과제들입니다. 이 모든것을 다 이끌어 내기란 결코 쉽지가 않습니다만 사람을 베이스로 생각하며 진행하지 않고서는 절대 이루어 낼 수 없는 조건들이죠. 다시한번 되새겨 볼만한 내용입니다. 조직이든 개인이든 스스로의 혁신을 지향한다면 아래 내용을 잘 생각해 보아야 합니다. 1. 그 혁신이 해결하려는 문제는 무엇인가? 2. 사람들은 그것을 문제라고 인식하는가? ·그것을 어떻게 알았는가? 3. 만약 아니라면, 언제 그것이 사람들에게 문제가 될 것인가? 4. 아이디어가 어디에서 나왔는가? ·문제에 대한 해결책에서 찾았다. ·기존 기술의 새 응용에서 찾았다. ·시장조사에서 나왔다. ·추세를 따른 것이다. ·당신이 상상한 것이다. 5. 혁신이 지금까지.. 더보기
변화와 혁신을 위하여 궁극적인 변화관리란 지식의 증가가 아니라 행동(실행력)의 변화(증가)가 있어야 합니다. 갈등과 분쟁으로 나날이 바쁜 현실에서 행동의 변화를 끌어 내기가 결코 쉽지만은 않습니다. 이러한 상황을 대처하기 위해서는 코칭의 역할이 반드시 필요하지요. 세상은 민첩하게 변하지만 아직도 우리 주변엔 조직과 조직원들을 기계의 톱니바퀴로만 인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우리 사회의 잘못된 관습과 워크 스타일의 결과물인 것입니다. 이런 문화에선 진정한 변화나 혁신을 실현하기가 힘들죠. 변화와 혁신을 끌어 내기 위한 전문 조력자(Facilitator)가 그래서 절실히 필요합니다. 변화와 혁신을 이루기 위해선 상당히 많은 관점에서 살펴보고 모니터링 해야 합니다. 골방에 가두어 놓고 하루 이틀 교육과 컨설팅 리포트만 가지고 탑다운.. 더보기
변화관리의 중요성 새로운 눈을 가지고 있지 않으면 새로운 세상을 볼 수 없으며, 기존 틀에서 생활하면 그 내부밖에 보이지 않는다. 자신이 달라져야만 모든 것들이 달라진다. 변화와 혁신에는 다음이란 없습니다. 지금 이 순간의 결의와 결심이 필요합니다. 작심은 행동을 불러오고 그 행동은 다른 행동을 불러 일으킵니다. 우리 주변에는 많은 변화가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시장과 고객, 비즈니스 모델, 업무 프로세스, 제품과 서비스, 기술, 자신의 삶, 업무, 인간관계, 가정, 사회 모든 면에서 때론 기회라고 할 수도 있는 변화의 바람이 늘 우리 옆을 지나쳐 가고 있습니다. 그런 변화의 물결에 올라타는 모험을 할 것인가? 현실에 만족하는(또는 자만하는) 삶에 머무를 것인가? 혼란스러울 수도 있지만 답은 명확한겁니다. 자칫 대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