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 50가지의 전 과정은 조직의 변화 관리자가 지향해야 할 중요한 과제들입니다.
이 모든것을 다 이끌어 내기란 결코 쉽지가 않습니다만 사람을 베이스로 생각하며 진행하지 않고서는 절대 이루어 낼 수 없는 조건들이죠. 다시한번 되새겨 볼만한 내용입니다.
조직이든 개인이든 스스로의 혁신을 지향한다면 아래 내용을 잘 생각해 보아야 합니다.
1. 그 혁신이 해결하려는 문제는 무엇인가?
2. 사람들은 그것을 문제라고 인식하는가?
·그것을 어떻게 알았는가?
3. 만약 아니라면, 언제 그것이 사람들에게 문제가 될 것인가?
4. 아이디어가 어디에서 나왔는가?
·문제에 대한 해결책에서 찾았다.
·기존 기술의 새 응용에서 찾았다.
·시장조사에서 나왔다.
·추세를 따른 것이다.
·당신이 상상한 것이다.
5. 혁신이 지금까지 충족되지 않았던 필요를 실현하는가?
6. 혁신이 새로운 가능성을 여는가?
7. 수용 판단 과정의 나중 단계에서 성공 가능성을 어떻게 높일 수 있는가?
·혁신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기
·혁신이 문제를 해결한다는 것을 인지하기
·수용 판단에 영향을 미치기
·판단 과정 자체(보통 구매 결정)
·설치
·확인과 유지
8. 전형적인 선각 수용자를 묘사하라. 그들은 혁신에서 무엇을 원하는가?
9. 전형적인 후기 다수 수용자를 묘사하라. 그들은 혁신에서 무엇을 원하는가?
10. 선각 수용자에서 후기 다수 수용자로 옮겨가려면 혁신이 얼마나 바뀌어야 하는가?
11. 누가 또는 무엇이 각 수용자 그룹에 영향을 미치는가?
12. 그 일을 하는 종래의 방법은 무엇인가?
13. 혁신의 상대적인 장점이 무엇이라고 수용자가 인식할 것인가?
14. 혁신이 수용자의 가치, 경험, 문화와 일치하는가?
15. 사용자가 혁신이 쉽다고 생각할 것인가?
16. 결정을 하기 전에 혁신을 쉽게 시험할 수 있는가?
17. 사용하기 전에 성능이 어느 정도인지 알 수 있는가?
18. 혁신을 사용하는 데 위험이 있는가, 아니면 혁신이 어떤 위험을 감소시키는가?
19. 혁신 때문에 사람들에게 중요한 어떤 결정을 할 수 없게 하는가?
20. 혁신이 사용자의 이미지를 높일 것인가, 낮출 것인가?
21. 혁신이 충분히 구실을 할 수 있는가? 할 수 있다면 어떻게?
22. 사람들이 과거에 좋은 혹은 나쁜 경험을 했을 수도 있는 어떤 것과 혁신은 얼마나 다른가?
23. 혁신을 수용하거나 혁신으로 전환하는 데 드는 비용이 시간적으로 금전적으로 얼마인가?
24. 사용자에게 비용-효과는?
25. 혁신의 사용에 네트워크 효과가 있는가?
26. 경쟁 제품이나 보완 제품과 호환성이 있는가?
27. 제대로 작동하기 위해 다른 혁신에 의존하는가?
28. 혁신이 표준을 창조하는가, 아니면 기존 표준에 도전하는가?
29. 쉽고 싸게 설치하거나 관리할 수 있는가?
30. 버리는 것이 싸고 쉬운가?
31. 혁신의 보급을 돕는 유인책이나 보조금이 있는가?
32. 질문 14~31의 특징 중에 선각 수용자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인가?
33. 질문 14~31의 특징 중에 후기 다수 수용자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인가?
34. 혁신가로서 당신은 질문 14~31의 특징 중 어떤 것을 광고할 것인가?
35. 수용자에게 중요한 것과 당신이 광고할 것 사이에 차이가 있는가? 있다면 걱정해야 하는가?
36. 혁신에 깔려 있는 행동 전제는 무엇인가?
37. 환경의 신호가 있는가?
38. 환경의 신호에서 당신이 보는 것과 혁신이 어떤 점에서 다른가?
39. 어떤 사회적, 경제적 요인 때문에 사람들이 혁신을 수용하는가?
40. 아래에 적은 막연한 저항을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
·관심 없다
·번거롭다
·이대로 좋다
41. 혁신이 지나친 열풍의 대상이었던 적이 있는가?
42. 시장예측가들이 예상하는 것은?
43. 시장예측가 들을 믿는가? 믿는다면 왜?
44. 다른 사람이 아래 신호 중 어떤 것을 당신한테서 볼 수 있는지 물어보라.
·당신 자신이 필요를 사용자의 필요라고 생각하는지
·지나친 과신
·그룹사고의 증상
·부정적인 조사 결과를 받아들이지 않거나 무시하는지
45. 어떤 기준으로 성공을 판단할 것인가?
·시장 점유율
·기술적 우월성
·고객 만족
·투자수익률
46. 어떤 시간 단위와 어떤 맥락에서 성공 여부를 판단할 것인가?
47. 다음 단계 진행 여부를 판단하는 명확한 기준을 설정한 공식적인 제품 개발 프로세스가 있는가?
48. 혁신을 어떻게 팔 것인가? 성능을 광고할 것인가, 질문을 할 것인가?
49. 시장조사 결과가 혁신에 대한 시장이 없다는 것이라면 어떻게 하겠는가?
50. 어느 시점에 포기할 것인가?
참 길군요...숨가쁘게 읽으신 여러분 화이팅....
'기술사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The power of Time off (안식년의 힘, 가치) (0) | 2012.06.21 |
---|---|
Big Data Analysis (0) | 2012.06.20 |
해커들이 좋아하는 최악의 애플리케이션 취약점은? (0) | 2012.05.17 |
변화와 혁신을 위하여 (0) | 2012.04.27 |
변화관리의 중요성 (0) | 2012.04.23 |